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EBS명의 뇌전증 명의 이상건 교수 프로필 진료예약
    건강정보 2025. 3. 14. 06:36
    반응형

     

    오늘은 EBS 명의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뇌전증과 이와 관련된 이상건 교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뇌전증 정의

    뇌전증은 뇌의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로 변하여 과도한 흥분이 발생함으로써 의식 소실, 발작, 행동 변화 등의 뇌 기능 이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만성적인 뇌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대뇌의 신경세포들은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통해 서로 소통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방출될 경우 발작이 유발됩니다.

     

     

    뇌전증 원인

    뇌전증의 원인으로는 임신 중 영양 상태, 출산 시 합병증, 두부 외상, 독성 물질, 뇌 감염, 종양, 뇌졸중 및 뇌의 퇴행성 변화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 뇌전증 발생의 정확한 기전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뇌전증은 출생 전후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작이 여러 심각한 뇌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 해당 질환이 요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령에 따른 뇌전증의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아기: 주산기 뇌 손상, 선천적 기형, 저칼슘증, 저혈당증, 대사성 질환, 뇌막염, 뇌염
    - 유아기: 열성 경련, 주산기 뇌 손상, 감염
    - 학동기: 특발성, 주산기 뇌 손상, 외상, 감염
    - 청장년기: 외상, 종양, 특발성, 감염, 뇌졸중
    - 노년기: 뇌졸중, 뇌 외상, 종양, 퇴행성 질환

     

     

     

    뇌전증 증상

    뇌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운동성 경련 발작입니다. 그러나 발작 증상은 뇌의 특정 영역과 그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팔의 운동을 조절하는 뇌 영역에서 발작이 발생하면 한쪽 팔만 떨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측두엽에서 증세가 나타날 경우,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입맛을 다시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며, 양쪽 뇌에 영향이 갈 경우 대발작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작의 양상은 영향을 받는 뇌 부위와 강도에 따라 다양합니다.

     

    뇌전증 진단

    뇌전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발작의 발생 시기와 방식, 발작 중 손과 눈의 모양, 지속 시간, 환자가 반응했는지 및 기억 여부 등을 문진을 통해 조사합니다. 이후, 증상에 따라 뇌자기공명영상(MRI), 뇌파 검사(EEG),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등을 시행합니다. 이러한 검사는 뇌전증의 병소를 탐지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검사로 각각의 특성이 다릅니다.

     

    뇌전증 치료

    뇌전증 치료는 약물 치료와 수술 치료로 나눌 수 있으며, 약물 치료가 우선입니다. 약물로 조절되는 환자는 대략 70~80%에 달하며, 이 중 일부는 오랜 기간 약물 없이도 경련이 재발하지 않습니다.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환자는 약 30%로, 이들에게 수행되는 수술 치료가 있습니다.

     

    (1)약물치료

    -고전적 항경련제 : 페니토인, 발프로산, 카바마제핀, 페노바비탈, 클로나제팜, 클로바잠 등이 포함됩니다.
    -신규 항경련제 : 최신 약물 중 일부는 심각한 부작용이 적고 약물 상호작용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수술치료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뇌전증은 발작을 유발하는 뇌 조직을 수술로 제거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는 주요가 필요한 환자 그룹에게 시행됩니다. 

     

    명의 이상건 교수

    반응형

    댓글

copyright by 인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