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내장 명의 박찬기 교수 프로필 진료예약방송정보 2025. 8. 15. 19:11반응형
8월 15일 EBS명의에서는 녹내장에 관한 이야기가 방송되었는데요. 오늘은 녹내장과 그리고 녹내장 명의 박찬기 교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녹내장이란?
녹내장은 시신경이 손상되면서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질환입니다. 대부분 안압(눈 안의 압력)이 높아져서 발생하지만, 안압이 정상이어도 시신경이 약한 사람에게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조기 발견과 꾸준한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녹내장이 생기는 원인
녹내장의 정확한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압 상승: 방수(눈 안의 액체)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눈 안의 압력이 높아지는 경우
유전적 요인: 가족 중 녹내장 환자가 있을 경우 발병 위험 증가
고령: 나이가 들수록 시신경이 약해지고 녹내장 위험 증가
기저질환: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과 관련 있음
안과 외상 및 수술: 눈에 충격을 받거나 수술 후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음
근시 또는 원시: 심한 근시/원시 환자에게 발생할 가능성 증가녹내장 치료방법
녹내장은 완치가 어려우므로, 시신경 손상을 막고 시력을 보존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주요 치료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물 치료 (점안약)
가장 일반적인 초기 치료법으로, 안압을 낮추는 안약을 사용합니다.
레이저 치료
안압 조절이 약물로 충분하지 않을 경우, 레이저로 방수의 배출을 도와 안압을 낮추는 시술입니다.
수술적 치료
약물과 레이저로 조절이 어려운 경우 시행되며, 방수가 잘 빠져나가도록 배출로를 만들어 안압을 낮추는 수술입니다.
섬유주절제술(Trabeculectomy)
방수유출장치 삽입술 등녹내장 치료후 관리법
녹내장은 만성 질환으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치료 후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
시야 검사, 시신경 상태, 안압 측정 등을 통해 질환의 진행 여부 확인
처방된 약물의 지속적인 사용
증상이 없다고 임의로 중단하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꾸준히 사용해야 합니다.
생활 습관 관리
-과도한 스트레스와 과음, 카페인 섭취 자제
-규칙적인 수면과 운동
-고개를 아래로 오래 숙이는 자세 피하기 (안압 상승 우려)
보조도구 사용
시야가 좁아 불편할 경우, 시각 보조 도구나 환경 개선(조명, 대형 글씨 등)으로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녹내장 명의 박찬기 교수
반응형'방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명의 신장암명의 한웅규 교수 프로필, 진료예약 (0) 2025.07.11 EBS명의 면역 폐질환 결핵 명의 임재준 교수, 심태선 교수 (1) 2025.06.13 EBS명의 심뇌혈관질환 명의 오성진 교수 프로필 진료예약 (1) 2025.06.06 EBS명의 안검하수 명의 윤진숙 교수 프로필 진료예약 (2) 2025.05.30 EBS명의 침샘암 명의 정은재 교수 프로필 진료예약 (0)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