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이상의 집, 윤동주 문학관을 찾아가 보자한국의문화역사 2023. 3. 17. 07:36
이상의 집 일제 강점기였던 1910년에 태어나 28년이라는 짧은 생을 사는 동안 이상은 매일이 분주했을 듯하다. 자신의 재능과 끼를 주체하지 못하고 펼쳐낸 수많은 문학, 그림, 건축물을 찬찬히 살펴보면 절로 드 는 생각이다. 경성에서 태어난 그는 3세부터 20여 년간 종로구에 있는 백부의 집에 살았다. 지금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지만, 그 터에 ‘이상의 집’이 있다. 2009년 토지를 매입 했고, 서촌 속 쉼터이자 이상을 떠올릴 수 있는 곳으로 운영되다 2018년 12월 재개관했다. 4월부 터는 해설사가 상주하며 짧고 뜨거운 생을 살다 간 이상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공간으로 거듭났다. 경복궁 서편에 자리하고 한옥이 많은 오래된 동네지만 뉴트로 열풍을 타고 젊은 세대도 찾는 핫한 지역으로 떠오른 서촌의 특성..
-
우리가 사랑한 시인, 백석, 김소월, 시 낭독회한국의문화역사 2023. 3. 16. 06:31
조선의 통치 이념을 엮은 법전 에는 “산천에서 놀이를 즐기는 부녀자는 장 100대에 처한다”고 명시돼 있다. 조선 시대 담장 너머 세상은 당시 여인들에게는 거대한 차별이자 도전이었다. 당시 장 100 대를 받은 죄인은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야 할 정도로 중한 형벌이었으니 당시 부녀자를 보는 보수적· 사회적 시선을 짐작할 수 있다. 고려 시대만 해도 남성과 거의 동일한 지위와 권리를 갖고 제사까지 모 실 자격이 있던 여성이 선남후녀(先男後女) 사상과 삼종지도(三從之道)를 강조한 조선의 유교 이념 탓에 어떤 공적 활동도 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풍류와 문학을 당당히 즐기는 조선 최초 여류 시 동인회 삼호 정시사(三湖亭詩社)가 상당한 인기와 호평을 받으며 활동했으니 당시로는 기이한 일이라 하겠다. 당시 이 모임..
-
경북 경산여행, 팔공산 갓바위, 반곡지문화여행기행 2023. 3. 14. 07:57
경산은 여행의 종착지라기보다는 경유지에 가깝다. 대구와 경주라는 경상권 대표 여행지 사이에 있어 여행객이라면 무심코스쳐 지날 법하다. 반대로 인근 대도시에서는 쉼을 찾아, 이야기를 따라 나들이객이 경산으로 넘어온다. 번잡한 일상에서 동 떨어진 곳으로 경산을 선택한다.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의 고즈넉한 민속원, 야경이 아름다운 남매지까지 가볍게 쉼표 찍기 좋은 곳이다. 조용하면서도 충만한 명소로는 반곡지가 꼽힌다. 사진가 사이에서 특히 이름난 저수지다. 책 펴듯 두 손바닥을 펼쳐 눈앞 대면 물 고인 데가 다 가려질 만큼 아담하다. 보통 걸음으로 한 바퀴 도는 데 10분이나 걸릴까. 하지만 꽃분홍빛 도화가 바짓 가랑이를 붙잡고, 억새와 들풀이 시선을 붙드는 통에 발걸음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사진가의 출사..
-
나주여행 2, 기억하고 지켜야할 것들, 나주읍성문화여행기행 2023. 3. 1. 08:43
이번 나주 여행의 주목적은 나주평야를 눈에 담기 위함이었지만, 구석구석 나주를 돌아보는 동안 곳곳에 아직 잠들지 않은 아픈 역사가 서려 있음을 깨달았고, 선조의 값진 희생에 한동안 가슴이 먹먹해졌다. 고려 현종이 거란군 침입 시 몽진한 일, 나주괘서사건, 임진왜란 때 가장 먼저 의병을 일으킨 김천일 의병장 출병식, 단발령 의거, 동학농민혁명 등 나주에는 우리가기억해야 할 역사가 고샅마다 조용히, 그리고 무겁게 자리하고 있었다. 나주읍성권의 한가운데 자리한 금성관은 이곳을 중심으로 주요 관광지가 자리해 많은 이들이 이곳에서 나주 여행을 시작한다. 조선 시대 객사였던 금성관은 고려와 조선 시대 지방 관청건물로 임진왜란 때 김천일 의병장이 의병을 모아 출병식을 열었으며, 일본인이 명성황후를 시해했을 때도 이곳..
-
완주여행, 완주 아원고택, 소양고택문화여행기행 2023. 2. 28. 08:20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오성마을은 백두대간이 남쪽으로 뻗어오다 멈춰 선 끝자락, 종남산(終南山)에 자리한다. 하루에 읍내를 오가는 마을버스가 5대뿐일 만큼 외진 시골 마을에 요즘 부쩍 외지인의 발길이 잦다. 아원고택을 보기 위해서다. ‘우리들의 정원’이라는 뜻을 품은 아원(我園)고택은 경남 진주의 250년 된 한옥을 그대로 옮겨와 총 12년에 걸쳐 터를 닦아 조성한 곳이다. 광고도 하지 않고 그저 지역 문화 예술인의 아지트로 사랑받다 한옥스테이로 손님을 받기 시작한 지는 채 2년이 되지 않았다. 그만큼 아는 사람만 알음알음 입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비밀스러운 공간이었다. 차에서 내려 가장 먼저 마주친 건물은 회백색의 커다란 콘크리트 건물이다. 입구를 종잡을 수 없어 한참을 두리번대다 ‘아원 Gallery C..
-
황금빛의 땅 나주 1.문화여행기행 2023. 2. 27. 07:38
나주에 간다고 하자 여럿이 의아해한다. ‘거기에 뭐가 있는데?’ 잠깐 고민하다가 역시 음식으로 설명하는 게 제일이겠다 싶어 ‘나주곰탕이 있지!’ 하고 답했다. 하지만 짧고도 알찬 1박 2일간의 나주여행을 다녀와서는 곰탕 대신 옹골지게 답할 수 있는 것이 생겼다. 지천에 금가루를 흩뿌린 듯 반짝이는 황금빛 보리밭의 나주평야와 아직 잠들지 않은 아픈 역사가 고스란히 남아 있노라고. 전라도 하면 보통 전주나 광주를 떠올리지만, 전라도의 지명이 전주와 나주를 합쳐 지었을 정도로 나주는 호남의 중심지였다. 고려를 세우고 후삼국을 통일한 태조 왕건은 당시 금성군이었던 나주를 중심으로 자신의 세력 기반을 만들었고, 금성군에서 주(州)로 승격시켜 나주로 개칭했다. 후에는 나주목이라고 해 지방 중심지인 8목 중 하나가 ..
-
행복지수 1위 나라 부탄문화여행기행 2023. 2. 26. 09:31
부탄(공식 국가명은 부탄왕국)은 히말라야산맥 동쪽, 티베트와 인도의 틈바구니에 있는 인구 80만 명이 채 되지 않는 은둔의 왕국이다. 2008년 개헌을 통해 국왕이 스스로 권력을 내려놓으며 입헌군주제를 도입했으나 여전히 국민은 국왕을 신임하고 존경 한다. 부탄의 지역 대부분은 해발 2,000m가 넘는 곳에 자리한다. 세속과 거리를 둔 삶이 오랜 기간 지속된 탓에 자연스레 물질적 풍요와는 거리가 멀다. 그럼에도 국민은 일상 속에서 만족과 행복을 느낀다. 세속적 잣대로 재단할 수 없는 이유가 분명있을 터. 부탄은 불교를 신봉하는 나라다. 국민의 80%가 대승불교 신자로, 인도에서 7세기경 발달한 대승불교의 한 분파인 탄트라 불교를 믿는다. 그 때문에 부탄 여행 중 가장 많이 접하는 이름 역시 부탄에 탄트라불..
-
군산 근대공원의 역사한국의문화역사 2023. 2. 8. 08:07
1920년대 후반 군산부청 신축과 더불어 도시가 명산동까지 확장되면서 군산의 중심지는 영화동에서 월명동으로 이동했다. 1902년 월명산 남쪽 능선에 훗날 군산신사의 말사(末寺)역할을 했던 금도비라사가 축조되었고 1915년에는 월명산, 오른쪽 능선, 군산서초등학교 후면 구릉에 군산신사가 들어섰다. 지금은 이어진 능선 전체를 월명산이라 부르지만 이 때까지만 군산신사 권역은 대사산(大師山)이었고, 1914년에 군산 조계(租界)가 폐지된 이후 신사일대는 '군산공원'이라고 불렸다. 월명산에는 군산신사 외에도 다양한 기념비와 근대 일본의 기술력을 보여주는 상징물들이 들어섰다. 1902년에는 상수원 역할을 하는 군산수원지(현재 월명호수)를 조성한 후 제방에 벚나무를 식재했다. 1926년에는 월명산 정상에 '慈雨惠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