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EBS명의 갱년기 호르몬제 이지영 교수 프로필
    건강정보 2025. 8. 22. 06:00
    반응형

     

    8월21일 EBS명의에서는 갱년기와 갱년기 호르몬제, 그리고 명의 이지영 교수에 관한 내용이 방송되었는데요.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여성 갱년기(폐경 이행기) 증상’과 ‘호르몬 대체 요법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려 합니다.

     

    40대 중·후반부터 시작되는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이해하고, 호르몬제 복용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으니 끝까지 읽어 주시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갱년기란?

    갱년기는 보통 최종 월경(폐경) 전후 약 4~6년의 시기를 ‘갱년기’(perimenopause)로 부릅니다. 폐경(Menopause)은 12개월 연속으로 월경이 완전히 중단된 시점을 의미하며, 평균 연령은 한국 여성 기준 49~51세입니다.

    갱년기 원인

    갱년기의 원인은 난소 기능이 저하되면서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생산이 급감하며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상하부·뇌하수체·난소 축(軸)에 변화가 일어나 여러 증상이 나타납니다.

     

    갱년기 주요증상

    갱년기의 주요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갱년기 호르몬 대체요법

    가장 대표적인 치료 방법은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폐경으로 인해 인체 내 생성이 부족해진 에스트로겐을 보충시켜주는 것을 말합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보충해주면 안면홍조 등 갱년기 증상이 개선되고, 골다공증 예방 등의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에스트로겐으로 단독으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행할 경우 자궁내막이 에스트로겐에 의해 과자극되어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해 프로게스테론을 같이 병용하게 됩니다.

     

     

    호르몬 대체요법 종류

    ① 생리주기 재현법

    여성의 호르몬 주기를 기초로 한 방법으로, 갱년기 초기의 여성, 조기 폐경 여성의 경우 주로 생리 주기 재현법을 시행합니다. 에스트로겐을 25일간 투여하며, 에스트로겐 투여 후기 12~14일간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하고, 5~6일간 휴약기간을 가집니다.

     

    ② 복합적 지속적 투여방법: 

    적은 용량의 프로게스테론을 에스트로겐과 함께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방법으로 보통 폐경 후 최소 2년이 경과한 여성에게 투여합니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휴약없이 30일동안 지속적으로 투여하게 됩니다.

     

    ③ 자궁이 없는 여성에서의 투약법:

    자궁 적출술을 받은 여성은 주로 에스트로겐 단독 30일간 사용합니다.

     

    갱년기 여성은 호르몬 대체요법을 사용해야 하나?

    폐경기 여성에게 시행되는 호르몬 대체 요법은 안면 홍조를 완화하고 골밀도 손실을 막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등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치료 시작 전 기대 효과와 잠재적 위험을 신중히 비교·평가해야 합니다. 이러한 평가는 개인 건강 상태, 가족력, 생활 습관 등을 고려하는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이뤄져야 하며, 상담 과정에서 치료 필요성, 약제 종류와 용량, 치료 기간 등을 구체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결국 호르몬 대체 요법 적용 여부는 개인별 위험 요인과 선호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결정되어야 하며, 치료 전·후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부작용 발생 여부를 면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명의 이지영 교수

    반응형

    댓글

copyright by 인포스트